DG 카라얀 베토벤교향곡 전집(62년)은 RIAA가 맞나요?
2022.02.10 23:13
카라얀 베토벤 전집 LP(62년 초반의 경우)는 roon으로 타이달 듣는 것보다 소리가 못합니다. 제 시스템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LP사운드가 roon보다 월등한데도 말이죠.
처음부터 LP커브를 의심했었고, 아래 링크 문서의 TELDEC 커브에 관심이 가는군요.
http://pspatialaudio.com/record_characters.htm
위의 긴 문서중에 TELDEC(500R-10.5) 부분과 마지막 노이만 커팅머신 부분은, TELDEC 커브와 그 당시 독일의 상황에 대해서 설명해줍니다.
흥미롭게 읽었고 또 그렇게 커브를 맞추어 들으니 아주 훌륭한 사운드로 들리는 것도 같습니다. 65년정도까지의 DG 초기 스테레오반들 몇장을 테스트해봤는데, 모두 같은 결과입니다.
그런데 LP의 커브라는게 이리저리 맞춰서 듣다보면, 혼자서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펴다가는 결국 엉뚱한 결론에 도달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커브 그만 신경쓰고 음악을 들으라는 조언도 많이 들었고요. ㅎㅎ
코로나가 좀 잠잠해지면 60년 전후 독일 빈티지 포노 한대 빌려서 들어보면 좋겠습니다.
댓글 11
-
나중에 나온 많은LP음반들이 RIAA 커브가 적용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한 국내 서적도 있었지만, 이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 특히 외국 전문가들까지 포함해서 - 아니라고 정확히 밝혀졌던 한두해 전의 해프닝도 있었습니다. 1962년 DG 녹음은 RIAA적용이 맞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이정용
2022.02.11 17:19
선생님 말씀을 참고해서 볼륨높여 다시 들어볼께요. 감사합니다~
-
이정용
2022.02.12 13:37
9번 4악장을 크게 틀어놓고, 가수들의 노래를 들어보니... RIAA가 맞는것 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안혁
2022.03.22 17:58
DGG 음반들 때문에 음악 듣기가 너무 힘듭니다. 정말 진심으로 DGG 튤립 음반이 RIAA였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slpm 138 스테레오 튤립 조차 대부분이 RIAA가 아닙니다.
'아니라고 정확히 밝혀졌던 한두해 전의 해프닝'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우선 제가 알기론 독일 쪽은 RIAA가 아닌 DIN이라는 아얘 다른 EQ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단 RIAA라는 것이 턴오버와 롤오프, 이렇게 두 가지 상수를 보정에 필요로 하지만, DIN이라는 것은 3가지 상수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을 예전부터 많이 했었습니다. (초보의 추측일 뿐이고, 이 문제로 예전부터 해외 인터넷 검색을 많이 해 보았지만,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 여전히 잘 모르겠습니다. )
여튼 DGG의 138이나 139 이후의 음반은 RIAA 이지만, 70년대의 텔레풍켄 음반만 하더라도 RIAA 아닌 음반이 꽤 되는것 같습니다. 그 시대의 LP를 CD나 타이달, 유투브 등의 음원과 비교해 보면 누구나 알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http://www.hifimusic.co.kr/cafe/17911
http://www.hifimusic.co.kr/cafe/17916
http://www.hifimusic.co.kr/cafe/17922 -
이정용
2022.02.12 12:16
후배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듬뿍 묻어나는 댓글입니다. 오장동 흥남집에서 냉면이라도 한그릇 대접하고 싶... 포노를 바꾸고서 LP의 음골은 보일락말락 하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
아날로그가 공부하고 격어가며 진도 나가는 최고 취미지요
바늘, 암, 턴, 승압, 포노, 판.. 케이블 등등
소리는 언제나 가장 낮은 쪽 기기 수준에 맞추어 나오니
선이나 기기 셋팅, 업글 순서 잘 생각하면서 접근하면
원하시는 고지에 오를 날이 반드시 찾아 옵니다 -
안혁
2022.03.22 10:55
초보라 답변하기 조심스럽지만, 500R-10.5는 거의 FFRR과 유사한 커브값이 나옵니다.
제 짧은 생각으로, 모노시대 포함, RIAA가 아닌 lp는 커브값만 맞춰서는 사운드 보정이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커브값과 게인을 동시에 맞춰야 한다고 생각힙니다.
그런데 제 경우 DGG 튤립은 이렇게 2가지만 맞춰서는 뭔가 2프로 부족했습니다. (RIAA가 아닌 DIN이란 것 때문인지 잘 모르겠지만요)다음은 허접한 경험에 바탕을 둔, DGG 튤립을 재생하기 위한, 매우 부적절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1. 7-80년대 LP를 들을 때 보다 약 1db에서 1.5db높은 게인값으로 세팅합니다 (DGG 튤립은 승압에서든 프리에서든 평소 세팅보다 1db 이상 올려야 힘이 붙는 것 같습니다. 2db까지 올리면 좀 답답하고 텁텁해집니다. 게인 미세조정이 가능한 프리나, 혹은 다양한 승압비의 승압트랜스가 필요합니다. 제 경우는 귀찮을 때 1db 안올리고 살짝 밍밍하게 들으며 '와, 이 맑은 사운드 너무 좋아'라고 정신승리하며 듣기도 하지만. 교향곡에서는 1db 차이가 매우 아쉬웠습니다. 특히 언급하신 카라얀 베토벤은 말할것도 없죠)
2. 위에 언급하신 링크의 CCIR에 나오는 350Hz를 공략합니다.
그런데 저는 350Hz에 맞춘 보정 경험이 전무합니다. 제가 쓰는 그람슬리 레볼루션은 375Hz밖에 없어서요.
CCIR은 350-10.5 라고 적혀있는데요. 제 경우는 375Hz-11db로 맞추면 살짝 부자연스럽게 날선 느낌이라 주로 375Hz-13.7db에 맞춰서 듣습니다.
그럼에도 베이스가 살짝 부족한 느낌이 들겁니다. 그렇다고 저음을 얻기 위해 13.7db에서 16을 선택한다던가 하는건 중고역이 상쇄되서 좀 아닌것 같습니다.
3.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프리앰프에서 저음을 적절히 조금 올립니다.전혀 도움 안되는 초보의 답변이라 죄송합니다.
-
http://www.hifimusic.co.kr/index.php?mid=myaudio2&page=5&document_srl=806891
8단 이큐.. 아주 유용합니다 -
안혁
2022.03.25 18:00
500Hz 노브가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제가 쓰기엔 너무 비싸 보입니다. ㅎㅎ
번호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수 |
---|---|---|---|---|
1283 |
포노앰프 올닉 H-3000 임피던스
[9] ![]() | 유재형 | 2022.05.07 | 226 |
1282 |
안녕하세요 가라드301 문의드려요
[3] ![]() | 박상준 | 2022.04.24 | 228 |
1281 | Ikeda 9Rex 카트리지 수리문의 [2] | 전병철 | 2022.03.15 | 290 |
1280 | 팬텀2 톤암 [6] | 박성준 | 2022.03.10 | 373 |
» | DG 카라얀 베토벤교향곡 전집(62년)은 RIAA가 맞나요? [11] | 이정용 | 2022.02.10 | 383 |
1278 |
이 음반이 모노음반인지 궁굼합니다.
[3] ![]() | 송시헌 | 2022.02.10 | 242 |
1277 | 레가 P9 리프트 업다운 오일 [8] | 박문성 | 2021.12.18 | 398 |
1276 | 톤암 상담요청 [9] | 이정용 | 2021.11.13 | 487 |
1275 | AR 2a 스피커 [2] | 박케네스 | 2021.08.24 | 562 |
1274 |
이음반이 모노반인지 스테레오반인지 궁굼합니다.
[2] ![]() | 송시헌 | 2021.08.16 | 404 |
1273 | 고에츠 로즈우드 플래티넘 리팁 [10] | 김익성 | 2021.07.19 | 804 |
1272 | 내부 저항이 3오옴 미만인 카트리지가 뭐가 있을까요? [6] | 양윤석 | 2021.07.16 | 307 |
1271 |
지난번 사진 첨부가 안되어 다시 올립니다
[5] ![]() | 이종찬 | 2021.06.28 | 285 |
1270 |
어느 가난한 애호가의 음반 컬렉션
[6] ![]() | 이정용 | 2021.05.28 | 861 |
1269 | 로딩 저항에 대해서 문의합니다. [6] | 양윤석 | 2021.05.27 | 356 |
1268 | 컨펌 부탁 [8] | 이정용 | 2021.05.07 | 378 |
1267 |
까마귀 턴 영입 신고합니다
[18] ![]() | 홍동수 | 2021.02.23 | 949 |
1266 |
톤암 베이스에 대한 질문
[10] ![]() | 이한선 | 2021.02.21 | 538 |
1265 | 태광 에로이카 TP-107 Turntable 밸트 사이즈. [5] | 김민호 | 2021.02.18 | 417 |
1264 | 지난번 데논 카트릿지 본사 AS 문의 사항 연장선 질문. [4] | 박재상 | 2021.02.03 | 446 |
규격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합니다.
그래서 공부 할래면 끝도 없어 재미있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