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디오가 놓치고 있는 것
2020.09.02 19:06
Ar7 이란 스피커를 제대로 세팅하여 들어보고 문뜩 깨달아지는 것이 있습니다.
(이 스피커를 들인지는 꽤 되었지만 그간에는 저의 다른 스피커들에 밀려서 뒤로 물러나 있었죠.)
이 스피커는 음정표현이 비교적 정확하질 않습니다.
음정을 표현할때 피아노 건반 같이 이미 정해진 음정(미리 조율된)을 그대로 표현하는게 아니라
현악기들처럼 그 음정의 중심이 아닌..근처.부근을 즉흥적으로 그리고 약간은 야릇하게 표현합니다.
(마치 현악기 연주자가 때때로 보다 다채로운 음색과 색다른 표정을 만들려고 일부러 정확하지 않은 다른음정을 연주하듯)
바로 이러한 표현방식이 스피커에서도 나올 수있다는게 매우 신기하게 생각되어집니다.
물론 웨스턴.탄노이.알텍.텔레풍켄등의 몇몇 빈티지모델들에서도 비슷한 소리를 듣긴했으나
Ar7 은 "이면에서는" 그중에서도 손꼽을만한 뛰어난 소리를 들려줍니다.
반면에 이러한 표현방식을 가진 현대의 스피커는 거의 볼 수없습니다.(최근모델들 일수록 더 없다는 생각입니다)
모호함이 표현력을 배가 시킨다!라는 미학적 이야기가 현대오디오기기들에 와서는 그만 잊혀진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드는 오늘 이었습니다.
(이 스피커를 들인지는 꽤 되었지만 그간에는 저의 다른 스피커들에 밀려서 뒤로 물러나 있었죠.)
이 스피커는 음정표현이 비교적 정확하질 않습니다.
음정을 표현할때 피아노 건반 같이 이미 정해진 음정(미리 조율된)을 그대로 표현하는게 아니라
현악기들처럼 그 음정의 중심이 아닌..근처.부근을 즉흥적으로 그리고 약간은 야릇하게 표현합니다.
(마치 현악기 연주자가 때때로 보다 다채로운 음색과 색다른 표정을 만들려고 일부러 정확하지 않은 다른음정을 연주하듯)
바로 이러한 표현방식이 스피커에서도 나올 수있다는게 매우 신기하게 생각되어집니다.
물론 웨스턴.탄노이.알텍.텔레풍켄등의 몇몇 빈티지모델들에서도 비슷한 소리를 듣긴했으나
Ar7 은 "이면에서는" 그중에서도 손꼽을만한 뛰어난 소리를 들려줍니다.
반면에 이러한 표현방식을 가진 현대의 스피커는 거의 볼 수없습니다.(최근모델들 일수록 더 없다는 생각입니다)
모호함이 표현력을 배가 시킨다!라는 미학적 이야기가 현대오디오기기들에 와서는 그만 잊혀진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드는 오늘 이었습니다.
번호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수 |
---|---|---|---|---|
3732 |
분위기 있는 방
[6] ![]() | 김원용 | 2020.10.06 | 308 |
3731 |
이런 분도 76
[3] ![]() | 김보영 | 2020.10.05 | 292 |
3730 |
추석을 맞이하여 변신중 입니다!
[26] ![]() | 박성준 | 2020.10.05 | 457 |
3729 |
선풍기 아닙니다
[5] ![]() | 김보영 | 2020.10.05 | 258 |
3728 |
이런 분도 75
[5] ![]() | 김보영 | 2020.10.04 | 295 |
3727 |
요르마 포노케이블
[8] ![]() | 박성준 | 2020.10.03 | 327 |
3726 |
OCTAVE V16
[3] ![]() | 김보영 | 2020.10.03 | 263 |
3725 |
이런 분도 74
[2] ![]() | 김보영 | 2020.10.01 | 906 |
3724 |
25킬로 남쪽에
[3] ![]() | 김보영 | 2020.09.30 | 281 |
3723 |
GOLDMUND ph3.8
[3] ![]() | 김보영 | 2020.09.29 | 659 |
3722 |
이런 분도 73
[1] ![]() | 김보영 | 2020.09.29 | 539 |
3721 |
The Ortofon Mc Century
[5] ![]() | 김보영 | 2020.09.26 | 379 |
3720 |
이런 분도 72
[3] ![]() | 김보영 | 2020.09.26 | 326 |
3719 |
MUSO
[3] ![]() | 김보영 | 2020.09.26 | 212 |
3718 |
MBL SOUND
[5] ![]() | 김보영 | 2020.09.25 | 359 |
3717 |
Easy groove
[3] ![]() | 김보영 | 2020.09.24 | 347 |
3716 |
이런 분도 71
[3] ![]() | 김보영 | 2020.09.24 | 281 |
3715 |
이런 분도 70
[8] ![]() | 김보영 | 2020.09.23 | 416 |
3714 |
LEFSON cap
[5] ![]() | 김보영 | 2020.09.22 | 291 |
3713 |
DAVA mc
[6] ![]() | 김보영 | 2020.09.22 | 257 |
예를들어 예전의 자동차들의 성능은 오늘날의 그것과는 많이 차이가 납니다.도로사정도 그렇죠.
그렇다면..양시대를 사는 사람이 만든 음악의 템포에 대한 해석도 실상은 서로 많은 차이가 존재할겁니다.
느린템포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음악의 선율미가 더 중시될 것이고 그러기위해선 음정을 다변화 시킬것입니다.보다 더 다채로운 감정의 표현
(Ar7)
반면에 빠른템포가 주된 오늘날이라면?
빠른리듬감을 보다 중요시 하고. 음정은 대신 정확하게 가져가는게 자연스럽습니다.
왜냐하면 빠른데 부정확한 음정이 나타날 경우 전체적 모양새가 지저분 해지니까요
(현대 하이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