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인사 & 시스템 소개...
2003.07.20 19:22
안녕하세요.
하뮤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 합니다.
절 아실만한 분이 본 사이트에 많아 보입니다.
오디오판매업을 접고... 마땅한 사이트가 없어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본 사이트가 눈에띄어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불경기를 감안해 유아교육사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직함이 사장님에서 원장님으로.. ^_*
얼마전(2003년 1월) 까지 여러 오디오에 에워쌓여 행복한(?) 생활을 구가하다 제 작은 콩알만한 리스닝룸
에서 만족하려니 어려운 면이 너무도 많았지만 3개월여 악전고투 끝에 저만의 소리도 일구게 되었습니다.
음악과 오디오가 있는 작은 소중한 공간 입니다.
오디오 돈대로 되지는 않지만 돈이 필요한 악취미인듯 합니다.
하뮤엔 상당한 수준의 기기를 소장하신 매니아분이 많아 보입니다.
제 보잘것 없는 기기이지만 수많은 매칭끝에 준완성 단계에 들어간 시스템의 조합이오니 많은 지도 편달을
바랍니다.
제 작은 리스닝룸의 크기는 3.8m x 3.6m 입니다.
소형스피커를 상당량 섭렵해 보았는데 제 취향과 듣는 장르에 의해 BBC 모니터인 LS 3/5a로 결정을
했습니다.
1. 메인(^^) 스피커
KEF LS 3/5a 20주년 모델.
- 고역을 0.5db 감쇄시키고 우퍼용 배선제를 교체 했습니다.
스텐드는 타겟 R2 입니다. R3와 상당시간 비교후 KEF엔 R2가 여러면에 좋은 결과가 나와 R2로..
인기있는 로져스는 2회 구입,판매를 하다 결국 제 곁에 없습니다.
스펜도어도 1회 경험이 있습니다.
2. 프리앰프
실바웰드 SWP-1000R
중역의 비중이 강한 빈티지 성향이 조금 있는 프리 입니다.
초고역과 초저역이 아주 약간 잘려있지만 중역의 밀도가 아주 좋은 프리 입니다.
역시 중역에 비중이 강한 3/5a에 잘 어울어 집니다.
- 튜닝시 비교해본 프리로 오디오리서치 레퍼런스1,첼로 앙코르 1메가옴(구버젼),쟈디스 JP30 MC,
마란츠 #7(신,구)가 있습니다.
3. 파워앰프
마란츠 #9 신형.
반도체도 수종 매칭해 보았는데 3/5a에 EL34PP가 잘 어울린다는 보편적인 정설을 제 귀로 확인한
파워 입니다.
- 튜닝시 비교해본 파워로... 마크레빈슨 NO.20. NO.20.5,클라세 DR3,수모 9 GOLD, 제프 모델1
골드문트 8.5,퀵실버 모노블록이 있습니다.
4. 포노 EQ
EAR 834P DELUX
- 이놈은 마땅히 임대해 매칭해볼 기기가 없어 튜닝시 고정한 상태로 들었습니다.
C/P면에서 대안이 별로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만....
진공관은 독일에서 생산된 지멘스가 제겐 좋은 결과를 주더군요.
관튜닝하려다 상당한 금액을 날려버렸습니다.
텔레풍켄 각인,뮬라드,암페렉스 뷰글보이등을 꼽아 보았습니다.
5. J.A 미셸 자이로덱 브론즈 + 레가 RB300...
베스트매칭 암으로 SME4 또는 SME309를 꼽는듯 합니다만.... 전 후일 레가의 상위급으로 교체하려
합니다.
레가암과 자이로덱의 궁함은 개인적으로 상당히 좋다 생각 합니다.
반면 SME3010(R)과는 좋지 않은 궁합으로 느껴집니다.
업그레이드를 위해 비자금을 마련중인데 대상은 상급기인 미셸 오르베 입니다.
솔로몬마케팅에서 전시품을 판매하는듯 한데.. 마눌님 눈치만 살피고 있습니다. ^^
6. 카드리지.
록산 쉬라츠와 코러스 MM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소리의 중간톤을 원하지만 .. 이게 쉽지 않군요.
쉬라츠는 에너지감이 상당히 강한 카드릿지 입니다. 두번이나 구입을 할 정도로 제겐 애착이 많은
카드릿지 입니다. 현의 마찰음이 리얼하고 요염한 맛이 매력적 입니다.
관심이 가는 카드릿지중 오르토폰 MC로만과 쥬빌리도 있지만... 승압트랜스의 매칭등 여러 까다로운
면이 많아 ... 실천에 옮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기있는 벤츠계열의 카드릿지는 글라이더 하이,루비2,L0.4의 경험이 있는데 늘 취향의 문제로
오래가지 못했던 기억이 납니다.
쉬라츠를 고정한다면 록산 TMS로 다시 가보고 싶기도 합니다.
7. 케이블,악세서리 등...
PAD 맥시무스 스피커줄 + 모니터 PC선으로 자작한 케이블로 바이와이어링 합니다.
스피커줄로 상당히 고전 했습니다.
3/5a의 거친 고음 때문 이지요.
모니터 PC선은 고음용으로 좋은 대안이 되더군요. 값도 엄청 저렴하고...
인터선은 PAD 맥시무스와 노더스트 SPM레펀러스,레드던이 있는데 맥시무스,레드던을 주로 많이
듣습니다.
악세서리는 MIB 오리우스나 심포지움 롤러블록을 상당기간 사용 했는데 악세서리의 역활을 초과
한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려워 다 처분하고 블랙다이아몬드 TYPE3와 4만 사용 합니다.
전원장비는 작년에 이석우님이 공급했던 캐나다산 의료장비용 노이즈필터를 사용하는데 이놈 없으면
이젠 음악을 못 들을 정도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이놈에 메네키스,문제의(?) 캐롤 선재,르그랑으로 김치호님이 단말처리를 해준것으로 전원장비는
일단 졸업하기로 했습니다.
물론 초고가의 전원장비에는 못미치지만 가격을 고려하면 대안이 보이질 않아서 입니다.
파워코드는 자금여력으로 튜닝을 해보지 못했습니다만...
파워앰프엔 SR케이블의 님포를 2개 구입해 듣고 있고 프리,소스용은 예전에 공을 들여 자작한
제품을 끊임없이(^^) 사용 합니다.
선재는 300가닥 정도되는 시그널 CABLE로 IBM중형 컴(RS6000)에서 떼어낸것 입니다.
룸튠은 전에 하클에서 공구한 어큐스틱레인지 full set에서 베이스트랩을 제외하고 사용 합니다.
다이켄 음향블록 6장도 같이 배치해 사용 합니다.
룸튠 장비의 적절한 배치는 상당한 인내심과 노동을 요구하지만 흘린 많큼의 효과는 주더군요. ^^
셋팅은 스피커를 거의 방 한가운데에 놓고 뒷벽에 밀착해 듣는 니어필드방식을 예전부터 고수하고
있는데 적어도 3/5a에서의 효과는 거의 절대적이라 생각 합니다.
말러나 쇼스타코비치도 3/5a에서 가능하다 판단 합니다만... 저만의 착각은 아닌지...
주로 든는 음악은 99% 이상 클래식 이며 LP는 1,000장 정도 소장하고 있습니다.. 1/2은 라이센스
입니다.
제 오디오관은 일단 어떤 음반이든 들어줄만 하게...가 1순위 입니다.
녹음이 잘된 음반만을 오디오적인 쾌감으로 재생하는 기기보단 구녹음의 음반도 듣기에 괴로운 소리를
내주지 않는 기기를 더욱 선호 합니다.
저음은 핵이 너무 단단하고 속도감에 치중한 저음 보단 자연스럽게 바닥에 깔려주며 .. 감싸주는듯한 저음을
선호 합니다.
특히 중역이 여윈 소리는 가장 싫어하며.. 자연스럽게 공간을 에워쌓아 주는 소리를 선호 합니다.
이런 취향은 거의 100% 클래식에 편중된 제 취향이 원인 이기도 하겠지요.
또한 모노초반을 상당히 자주 듣는 특이한 취향도 있습니다.
앞으로 통신사이트엔 되도록 글을 자제하려 하는데.. 예전 하클의 악몽(^^)이 생각이 나서 입니다.
겸허한 마음으로 많이 여쭈어보고 배우려 하오니 하클시절 절 배척 하셨던 분들도 너그러운 맴으로..^^
이상 가입인사를 마칩니다.
310
하뮤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 합니다.
절 아실만한 분이 본 사이트에 많아 보입니다.
오디오판매업을 접고... 마땅한 사이트가 없어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본 사이트가 눈에띄어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불경기를 감안해 유아교육사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직함이 사장님에서 원장님으로.. ^_*
얼마전(2003년 1월) 까지 여러 오디오에 에워쌓여 행복한(?) 생활을 구가하다 제 작은 콩알만한 리스닝룸
에서 만족하려니 어려운 면이 너무도 많았지만 3개월여 악전고투 끝에 저만의 소리도 일구게 되었습니다.
음악과 오디오가 있는 작은 소중한 공간 입니다.
오디오 돈대로 되지는 않지만 돈이 필요한 악취미인듯 합니다.
하뮤엔 상당한 수준의 기기를 소장하신 매니아분이 많아 보입니다.
제 보잘것 없는 기기이지만 수많은 매칭끝에 준완성 단계에 들어간 시스템의 조합이오니 많은 지도 편달을
바랍니다.
제 작은 리스닝룸의 크기는 3.8m x 3.6m 입니다.
소형스피커를 상당량 섭렵해 보았는데 제 취향과 듣는 장르에 의해 BBC 모니터인 LS 3/5a로 결정을
했습니다.
1. 메인(^^) 스피커
KEF LS 3/5a 20주년 모델.
- 고역을 0.5db 감쇄시키고 우퍼용 배선제를 교체 했습니다.
스텐드는 타겟 R2 입니다. R3와 상당시간 비교후 KEF엔 R2가 여러면에 좋은 결과가 나와 R2로..
인기있는 로져스는 2회 구입,판매를 하다 결국 제 곁에 없습니다.
스펜도어도 1회 경험이 있습니다.
2. 프리앰프
실바웰드 SWP-1000R
중역의 비중이 강한 빈티지 성향이 조금 있는 프리 입니다.
초고역과 초저역이 아주 약간 잘려있지만 중역의 밀도가 아주 좋은 프리 입니다.
역시 중역에 비중이 강한 3/5a에 잘 어울어 집니다.
- 튜닝시 비교해본 프리로 오디오리서치 레퍼런스1,첼로 앙코르 1메가옴(구버젼),쟈디스 JP30 MC,
마란츠 #7(신,구)가 있습니다.
3. 파워앰프
마란츠 #9 신형.
반도체도 수종 매칭해 보았는데 3/5a에 EL34PP가 잘 어울린다는 보편적인 정설을 제 귀로 확인한
파워 입니다.
- 튜닝시 비교해본 파워로... 마크레빈슨 NO.20. NO.20.5,클라세 DR3,수모 9 GOLD, 제프 모델1
골드문트 8.5,퀵실버 모노블록이 있습니다.
4. 포노 EQ
EAR 834P DELUX
- 이놈은 마땅히 임대해 매칭해볼 기기가 없어 튜닝시 고정한 상태로 들었습니다.
C/P면에서 대안이 별로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만....
진공관은 독일에서 생산된 지멘스가 제겐 좋은 결과를 주더군요.
관튜닝하려다 상당한 금액을 날려버렸습니다.
텔레풍켄 각인,뮬라드,암페렉스 뷰글보이등을 꼽아 보았습니다.
5. J.A 미셸 자이로덱 브론즈 + 레가 RB300...
베스트매칭 암으로 SME4 또는 SME309를 꼽는듯 합니다만.... 전 후일 레가의 상위급으로 교체하려
합니다.
레가암과 자이로덱의 궁함은 개인적으로 상당히 좋다 생각 합니다.
반면 SME3010(R)과는 좋지 않은 궁합으로 느껴집니다.
업그레이드를 위해 비자금을 마련중인데 대상은 상급기인 미셸 오르베 입니다.
솔로몬마케팅에서 전시품을 판매하는듯 한데.. 마눌님 눈치만 살피고 있습니다. ^^
6. 카드리지.
록산 쉬라츠와 코러스 MM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소리의 중간톤을 원하지만 .. 이게 쉽지 않군요.
쉬라츠는 에너지감이 상당히 강한 카드릿지 입니다. 두번이나 구입을 할 정도로 제겐 애착이 많은
카드릿지 입니다. 현의 마찰음이 리얼하고 요염한 맛이 매력적 입니다.
관심이 가는 카드릿지중 오르토폰 MC로만과 쥬빌리도 있지만... 승압트랜스의 매칭등 여러 까다로운
면이 많아 ... 실천에 옮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기있는 벤츠계열의 카드릿지는 글라이더 하이,루비2,L0.4의 경험이 있는데 늘 취향의 문제로
오래가지 못했던 기억이 납니다.
쉬라츠를 고정한다면 록산 TMS로 다시 가보고 싶기도 합니다.
7. 케이블,악세서리 등...
PAD 맥시무스 스피커줄 + 모니터 PC선으로 자작한 케이블로 바이와이어링 합니다.
스피커줄로 상당히 고전 했습니다.
3/5a의 거친 고음 때문 이지요.
모니터 PC선은 고음용으로 좋은 대안이 되더군요. 값도 엄청 저렴하고...
인터선은 PAD 맥시무스와 노더스트 SPM레펀러스,레드던이 있는데 맥시무스,레드던을 주로 많이
듣습니다.
악세서리는 MIB 오리우스나 심포지움 롤러블록을 상당기간 사용 했는데 악세서리의 역활을 초과
한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려워 다 처분하고 블랙다이아몬드 TYPE3와 4만 사용 합니다.
전원장비는 작년에 이석우님이 공급했던 캐나다산 의료장비용 노이즈필터를 사용하는데 이놈 없으면
이젠 음악을 못 들을 정도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이놈에 메네키스,문제의(?) 캐롤 선재,르그랑으로 김치호님이 단말처리를 해준것으로 전원장비는
일단 졸업하기로 했습니다.
물론 초고가의 전원장비에는 못미치지만 가격을 고려하면 대안이 보이질 않아서 입니다.
파워코드는 자금여력으로 튜닝을 해보지 못했습니다만...
파워앰프엔 SR케이블의 님포를 2개 구입해 듣고 있고 프리,소스용은 예전에 공을 들여 자작한
제품을 끊임없이(^^) 사용 합니다.
선재는 300가닥 정도되는 시그널 CABLE로 IBM중형 컴(RS6000)에서 떼어낸것 입니다.
룸튠은 전에 하클에서 공구한 어큐스틱레인지 full set에서 베이스트랩을 제외하고 사용 합니다.
다이켄 음향블록 6장도 같이 배치해 사용 합니다.
룸튠 장비의 적절한 배치는 상당한 인내심과 노동을 요구하지만 흘린 많큼의 효과는 주더군요. ^^
셋팅은 스피커를 거의 방 한가운데에 놓고 뒷벽에 밀착해 듣는 니어필드방식을 예전부터 고수하고
있는데 적어도 3/5a에서의 효과는 거의 절대적이라 생각 합니다.
말러나 쇼스타코비치도 3/5a에서 가능하다 판단 합니다만... 저만의 착각은 아닌지...
주로 든는 음악은 99% 이상 클래식 이며 LP는 1,000장 정도 소장하고 있습니다.. 1/2은 라이센스
입니다.
제 오디오관은 일단 어떤 음반이든 들어줄만 하게...가 1순위 입니다.
녹음이 잘된 음반만을 오디오적인 쾌감으로 재생하는 기기보단 구녹음의 음반도 듣기에 괴로운 소리를
내주지 않는 기기를 더욱 선호 합니다.
저음은 핵이 너무 단단하고 속도감에 치중한 저음 보단 자연스럽게 바닥에 깔려주며 .. 감싸주는듯한 저음을
선호 합니다.
특히 중역이 여윈 소리는 가장 싫어하며.. 자연스럽게 공간을 에워쌓아 주는 소리를 선호 합니다.
이런 취향은 거의 100% 클래식에 편중된 제 취향이 원인 이기도 하겠지요.
또한 모노초반을 상당히 자주 듣는 특이한 취향도 있습니다.
앞으로 통신사이트엔 되도록 글을 자제하려 하는데.. 예전 하클의 악몽(^^)이 생각이 나서 입니다.
겸허한 마음으로 많이 여쭈어보고 배우려 하오니 하클시절 절 배척 하셨던 분들도 너그러운 맴으로..^^
이상 가입인사를 마칩니다.
310
댓글 15
-
윤춘주
2003.07.20 19:29
환영합니다. 좋은 글 많이 남겨주세요. -
안창섭
2003.07.20 19:30
김삼열님 반갑습니다.
앞으로 좋은글 부탁드립니다..
-
조병식
2003.07.20 21:12
반갑습니다 이곳은 생각보다 훨 따뜻한 곳입니다
삼열님 말처럼 누가 누구를 배척하는 그런일은 절대 있어선 안되죠
앞으로 재밌고 좋은글 마니마니 부탁드립니다 -
서상원
2003.07.20 22:27
잘 지내시는 것 같아 무척 반갑습니다.
홀가분한 몸이 됐으니 예전 같은 일들은 없겠지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장기찬
2003.07.20 22:40
반갑습니다.
뵌지가 오래 되서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그 저녁에 찾아 갔던 방배동이 그립습니다.
자주 뵙고 좋은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
임정훈
2003.07.21 00:01
환영합니다! ^^
저는 아직 뵌 적은 없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좋은 활동 부탁드리겠습니다! -
김욱동
2003.07.21 00:50
반갑습니다. 좋은 인연 만들어 가시고 좋은 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김지웅
2003.07.21 01:18
김삼열님 정말 반갑습니다.
오디오 사랑하시는 분은 어디에서든 만나게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정말 반갑고 앞으로 많은 지도 부탁 드립니다.
-
남윤상
2003.07.21 08:00
안녕하세요?
실바웰드 1000R 프리를 쓰시는군요! 저도 몇년 간 실바웰드 당원이었습니다.
기회가 닿을 때 쇠주 한 잔 함께 하고 싶네요. 한 번도 뵌 적이 없네요, 저는. ^*^
즐음하시고, 장마에 건강하게 지내시길~~~
-
용호성
2003.07.21 08:49
반갑습니다. 전에 사장님 하실 때는 매출에 별로 기여도 못해드리면서 아쉬울 때마다 자문만 구했더랬는데... ^^; 앞으로 게시판을 통해 자주 뵙도록 하겠습니다. -
류병현
2003.07.21 08:54
J.A 미셸 자이로덱 브론즈 쓰시는분을 만나니 반갑습니다.
저는 SME3010(R)에 고에츠블랙으로 구성을 했는데
제귀에는 아직 그런대로 좋습니다.
졸은 글 많이 주시고 즐거운 음악 생활하세요..... -
김태윤
2003.07.21 16:26
제 방보다도 큰 방에서 제 스피커 크기의 1/4 밖에 안되는 작은 스피커를 들으시다니....
작은 방에서도 중형 스피커를 맘껏 울릴 수 있음을 증명하려고 애쓰는 중입니다만... 어휴 그 놈의 겹치는 음상은 도저히... -
이기원
2003.07.22 19:39
반갑습니다. 방배동 뜨신 이후로 놀이터(?)가 없어져 무척 섭섭했더랬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다시뵙게 되니 반갑네요. 이곳 가입인사도 하기전에 김삼열님 반기는 인사부터
하게 되는군요. 하하 그럼 앞으로 많은 좋은글 기대하겠습니다. -
김삼열
2003.07.22 22:08
이렇듯 많은 분이 환대해 주시니 정말 훈훈한 마음이 듭니다.
너무 떠들지 않고 확실히 어드바이스 가능한 자신 있는 부분만 성심껏 참여 하겠습니다.
지웅님은 공부 잘 하고 계시겠지요 ?
지금도 마니2에 플리니우스 250-MK4로 말러를 듣고 계시겠군요.
감사 합니다.
-
김지웅
2003.07.25 00:27
삼열님 안녕하세요....
제 시스템을 아직도 기억해 주시니 ... ^^ 너무 감사합니다.
공부가 뭔지 참^^
나중에 제 자식이 저같은 공부를 한다면 죽도록 패서도 하지 말라고 말릴 생각입니다.^^
마니2는 이제 없고 지금은 스피커를 업할생각인데...플리니우스250-그리고 나머지 쏘스까지 모두 bat 제일 위급으로 도배를 했습니다.
조만간에 안드라로 갈려고 합니다.^^
그럼 언제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번호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수 |
---|---|---|---|---|
133 | 매칭(matching)의 원리가 있나요? [8] | 김준호 | 2003.10.04 | 2615 |
132 | SACD나 DVD-Audio를 해야하나요? [3] | 박성우 | 2003.10.04 | 2442 |
131 | 소리의 평가 (8) : 끝내는 말 [4] | 김준호 | 2003.10.02 | 2311 |
130 | 소리의 평가 (7) : 종합적 용어들... | 김준호 | 2003.10.02 | 2639 |
129 | 소리의 평가 (6) : 공간과 음량 | 김준호 | 2003.10.02 | 2490 |
128 | 소리의 평가 (5) : 재생음의 평가 기준 [1] | 김준호 | 2003.10.01 | 2568 |
127 | 음에서 색의 비유가 중요한 이유.. [16] | 박성준 | 2003.10.01 | 2400 |
126 | 소리의 평가 (4) : 음색과 그 동의어 들 [11] | 김준호 | 2003.09.30 | 3212 |
125 | 소리의 평가 (3) : 소리의 3가지 단위와 차원 [3] | 김준호 | 2003.09.30 | 2711 |
124 | 소리의 평가 (2) : 소리의 추상성 [2] | 김준호 | 2003.09.30 | 2520 |
123 | 소리의 평가 (1) : 들어가는 말 [2] | 김준호 | 2003.09.30 | 2415 |
122 | [의견] 용어의 정확한 정의를 내려주시면... | 한승규 | 2003.09.30 | 2784 |
121 | [re] 일리가 있습니다.^^ | 박성준 | 2003.09.30 | 2551 |
120 | 어쩌라고...? [5] | 김명덕 | 2003.09.30 | 2309 |
119 | 음색의 보장 [11] | 이호영 | 2003.09.30 | 2338 |
118 | [re] 음색을 특정색으로 정의하기 어렵다면... | 이호영 | 2003.09.30 | 2631 |
117 | 서브 스피커 위치 옮기고 | 안창섭 | 2003.09.29 | 2835 |
116 | 음촉(音觸) | 류성우 | 2003.09.29 | 2608 |
115 | [소개]정확한 음색의 표현력과 콘트라스트를 들을 수있는 음반 [4] | 박성준 | 2003.09.29 | 2605 |
114 | 음색을 특정색으로 정의하기 어렵다면... [4] | 박성준 | 2003.09.29 | 24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