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오디오 이야기
2003.07.24 14:41


예전에 처음 오디오를 할때는 저음을 좋아했다. 쿵쿵쿵 가슴을 울려주는 저음
저음이 많이 나와주는 오디오가 좋은 오디오 인줄 알았다. 필라델피아 o.s.t의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노래를 테스트 씨디로 한동안 사용을 했었지. 쿵쿵따닥
쿵쿵따닥 이 저음이 왕성하게 나와주는 오디오가 이세상에서 제일 좋은 오디오
라고 생각을 했었다. 그러다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풍성하게 나와주는 저음이
귀에 거슬리기 시작했다. 풍성하고 풀어진 저음 보다는 단단한 저음이 더 좋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한 것이다. 우물안 개구리라고나 할까? 단단한 저음을 들어보지
못한채 풍성한 저음이 최고야 하고 생각을 했었으니 하지만 양보다는 질이 더
위라는 것을 느끼는데 한 1~2년의 시간이 필요했던 것 같다. 이제 단단한 저음을
찾아서 오디오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단단한 저음 이글스의 헬 브리스 오버중의
호텔 캘리포니아 도입부의 저음 그 저음을 한동안 또 리퍼런스 씨디로 사용을 했었지
이제 저음이 단단해졌다. 파워도 튼실한 놈으로 붙히고 이제 만족한다고 느낄때 쯤
이제 저음이 아니라 고음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시원한 고역 쭈우욱 쭈욱욱 뻗어 올라
가주는 고역 역시 고역이야 한동안은 여성 보컬곡들을 리퍼런스로 사용을 했었다.
칼라스, 보니, 오코너, 등등 해상도 위주의 시스템을 사용했었지 손이 베일 것 같이
날이 잘선 소리 고역의 쭉쭉 뻗음을 좋아라 하며 이제 되었지라고 생각을 할때쯤
하지만 날이 잘선 소리는 쉬 피곤해졌다. 음악을 들을 때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하며
청취하게 만들기에 장시간 시청을 하기엔 너무 피곤했다. 그래서 이보다 더 쉽게
편하게 음악을 즐겼으면 하는 바램이 들기 시작했을때. 어느날 갑자기 질감이 다가
오기 시작을 했다. 현의 찰진 질감 현을 부우욱 부우욱 긁어 주는 소리 역시 질감에는
진공관이야! 티알이 절대로 따라오지 못하지 하며 진공관의 세계로 빠져 들었지. 맨날
바이올린 소품집과 무반주 첼로곡만 돌려 댔었다. 이제 되었다라고 생각을 할때 스케일
감이 다가오는 것이다 대편성에서의 꽉찬 느낌 가슴을 밀고 들어 오는 스케일감 와!
역시 스피커는 대형기야지 되는구나. 소형기는 역시 한계야 그래서 스피커를 또 바꾸고
한동안 대편성만 들었지 말러 5번,투티,1812 서곡 이제는 오디오 졸업이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을때 피아노소리가 다가왔다. 어? 이소리 피아노 소리가 아닌데? 피아노의 배음이
왜이렇게 많치? 너무 둥글 둥글하구 번지는데 아들녀석 피아노 건반도 두드려보구 한참을
고민하다. 아날로그의 세계에 입문을 하고 역시 아날로그야~ 고음이 쭉쭉 뻗으며 자극적이지
않고 저음도 뚜욱뚝 떨어지며 탱글거리고 배음도 적당하고 순도도 좋구 바란스가 기가 막히는
구만 왜 아날로그를 진작에 안했을까? 허허실실 판사러 한동안 돌아 다녔지. 하지만 아날로그
다좋은데 판딱는 것 귀찮고 음악 금방 끝나서 갈아주러 움직여야 하고 뭐? 없을까 하고 이리
저리 방황을 하기 시작했다. 진공관 앰프를 사용하다 보면 여름에 항상 사고를 치는데 저는
이상하게 여름에 진공관 앰프의 소리가 너무 덥고 두텁게 들려서 고민을 많이 했죠. 그러다
지금의 시스템을 얼마전에 들이고 오디오 졸업을 했습니다. 앞으로 더이상의 바꿈질은 없다!!!
이제 음악만 들을 것이다라고 외쳤지만 아직도 주위의 분들은 무지막지한 뻠푸를 날리고들
계십니다. ^^ 지금 생각해보면 오디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밸런스라고 단언을 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의 여러기기들을 사용해본 결론은 어느 대역에 치우치지 않고 고역 중역 저역
고루고루 어느 파트 하나 튀지 않고 서로 어울러져 나오는 소리가 가장 좋은 소리입니다. 악기
또는 대역의 질감과 해상도도 같은 맥락에서 서로의 밸런스가 잘 맞아야겠죠. 이제는 음악만
즐길 수 있게되어 매일매일 행복합니다. 즐음하세요 ^^
댓글 16
-
김택완
2003.07.24 14:50
-
이상권
2003.07.24 15:26
멋지군요. 부럽습니다
6개월 전,후입니다.
계절이 두번 바뀌면 한계치에 다다를 겁니다.
-
장동기
2003.07.24 15:51
굳이 뽐뿌를 한다면 스피커를 조금 더 대편성 지향으로 하실 수 있겠고...
파워앰프를 모노블럭으로 할 수 있겠고(으악! 돈달라는 소리)
소스기도 막강하니 플젝달아서 2채널 AV까지...
뭐 이정도가 뽐뿌일 것 같고, 앰프와 소스기기 여기서 더 바꾼다는 것은
정말 유희에 지나지 않겠지요...
아무튼 부럽고 축하합니다... -
김태석
2003.07.24 15:53
소리는 안보이니까 모르겠구요..일단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오디오 랙이 조금 허전해 보입니다. 색도 앰프와 잘 안어울리는 것 같네요.
이런 걸 다 맞춰야 업그레이드 생각이 안납니다. ㅎㅎㅎ
오디오는 모르지만 랙은 바꾸어 주시는 것이 보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
-
윤춘주
2003.07.24 17:13
6개월 내에 바뀐다에 제 마눌빼고 전재산 겁니다.^^ -
김택완
2003.07.24 17:16
애처가시네요. 마눌님은 빼고 거시는걸 보면...
-
안창섭
2003.07.24 17:22
윤춘주님 말씀 공증 거시죠....
-
박성우
2003.07.24 17:31
아마 6개월안에는 뭐가 바뀌어도 바뀔것 같은데요.
불과 한달전에 제가 와이프한테 이젠 안바꿔 했는데, 에고 고세 케이블이 바뀌었으니 말입니다.
내기에 이기는 방법임니다.
1. 박찬익님께 매일 술을 사게 만들어 6개월 동안 음악을 안듣게 만든다.
2. 매일 정전 시킨다. 매일 전봇대에 매달려 살아야하나
3. 방문해서 기기에 문제를 일으키게해서 한 6개월동안 음악을 못듣게 만든다.
4. 다른 취미를 가지게 해서 음악을 멀게 만든다.
이렇게 해서 윤춘추님 재산을 내것으로 만들어
내 오디오 다 바꾼다.
횡수였습니다.
-
임정훈
2003.07.24 17:37
성우님... 굿아이디어입니다! -
임정훈
2003.07.24 17:47
경험에 의하면 찬익님의 소리는 방문 할 적마다 기가막히게 좋은음이었습니다.
워낙 음악을 좋아하셔서.. 득음의 반열에도 쉽게(?) 오르지 않았나 싶네요.
축하드립니다! ^^
앞으로 "즐음"만이 남으셨네요! ^^ -
서상원
2003.07.24 22:12
6개월 이내에 스피커가 바뀝니다.
다음은 DAC와 프리가 상급모델로 올라갑니다.
그다음 파워앰프도 모노블록으로 갑니다.
중간에 아날로그도 다시...
6개월쯤 머물다 하산 하겠지요..^^
불보듯 뻔합니다. -
이상권
2003.07.25 08:10
상원님 말씀대로
스피커는 우선 바뀔 것이고 3개월 전 후
아마 저음이 자연스럽다고는 하나 안개처럼 피어오르고 있을 듯
다른 것은 6개월 전후 ? -
정유헌
2003.07.26 00:19
박찬익 선배님!
오디오 랙이 무척 쓸쓸하옵니다. 제가 요새 심취하고 있는 Lotto에 반응이 있
을시 29를 모조리 29.4로 바꿔드리겠사옵니다. 아울러 렉서스 ES300도 한대
사드릴테니 너무 심려치 마시옵소서. ^
그나저나 광석이가 전화를 안받네요. -
박찬익
2003.07.26 03:20
^^ ............ -
유형중
2003.07.26 10:43
박찬익님은 윤춘주님 가정의 평안을 위해서라도... 6개월 안에
오디오를 바꾸셔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만에 하나... 6개월을 유지하신다면,
우리 하이파이뮤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주요 언론에 보도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
안상훈
2003.08.08 17:16
찬익이 형님......후아...이 글은 저번에 봤지만....이 글 쓴 분이 제가 아는 찬익이 형일 줄은....큼...대단하십니다.
번호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수 |
---|---|---|---|---|
133 | 매칭(matching)의 원리가 있나요? [8] | 김준호 | 2003.10.04 | 2615 |
132 | SACD나 DVD-Audio를 해야하나요? [3] | 박성우 | 2003.10.04 | 2442 |
131 | 소리의 평가 (8) : 끝내는 말 [4] | 김준호 | 2003.10.02 | 2311 |
130 | 소리의 평가 (7) : 종합적 용어들... | 김준호 | 2003.10.02 | 2639 |
129 | 소리의 평가 (6) : 공간과 음량 | 김준호 | 2003.10.02 | 2490 |
128 | 소리의 평가 (5) : 재생음의 평가 기준 [1] | 김준호 | 2003.10.01 | 2568 |
127 | 음에서 색의 비유가 중요한 이유.. [16] | 박성준 | 2003.10.01 | 2400 |
126 | 소리의 평가 (4) : 음색과 그 동의어 들 [11] | 김준호 | 2003.09.30 | 3212 |
125 | 소리의 평가 (3) : 소리의 3가지 단위와 차원 [3] | 김준호 | 2003.09.30 | 2711 |
124 | 소리의 평가 (2) : 소리의 추상성 [2] | 김준호 | 2003.09.30 | 2520 |
123 | 소리의 평가 (1) : 들어가는 말 [2] | 김준호 | 2003.09.30 | 2415 |
122 | [의견] 용어의 정확한 정의를 내려주시면... | 한승규 | 2003.09.30 | 2784 |
121 | [re] 일리가 있습니다.^^ | 박성준 | 2003.09.30 | 2551 |
120 | 어쩌라고...? [5] | 김명덕 | 2003.09.30 | 2309 |
119 | 음색의 보장 [11] | 이호영 | 2003.09.30 | 2338 |
118 | [re] 음색을 특정색으로 정의하기 어렵다면... | 이호영 | 2003.09.30 | 2631 |
117 | 서브 스피커 위치 옮기고 | 안창섭 | 2003.09.29 | 2835 |
116 | 음촉(音觸) | 류성우 | 2003.09.29 | 2608 |
115 | [소개]정확한 음색의 표현력과 콘트라스트를 들을 수있는 음반 [4] | 박성준 | 2003.09.29 | 2605 |
114 | 음색을 특정색으로 정의하기 어렵다면... [4] | 박성준 | 2003.09.29 | 2482 |
다른분들! 자자...여깁니다. 여기에 거세요.
박찬익님 오디오 "6개월내에 또 바뀐다"에 거실분!
^^